본문 바로가기
시사

시리아 내전: 13년의 비극과 현재 상황

by cy-kim 2024. 12. 9.
반응형

시리아 내전은 2011년 3월 '아랍의 봄'의 영향으로 시작된 반정부 시위에 대한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의 강경 진압으로 촉발되었습니다. 이후 정부군과 반군 간의 무력 충돌이 격화되면서 내전으로 발전하였습니다.

내전의 주요 원인:

  • 정치적 억압: 알아사드 가문은 1970년부터 권위주의 통치를 이어오며 정치적 자유를 제한하였습니다.
  • 종파 갈등: 다수인 수니파와 소수 지배층인 알라위파 간의 종교적 긴장이 존재하였습니다.
  • 경제적 어려움: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농업 생산 감소로 경제 상황이 악화되었습니다.

내전의 경과:

내전 초기에는 반정부 세력이 서북부를 기반으로 활동하며 미국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알아사드 정권은 이란과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전세를 역전시켰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슬람국가(IS)와 같은 극단주의 세력도 등장하여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습니다.

 

현재 상황 (2024년 12월 기준):

최근 시리아 내전은 반군 세력의 대규모 공세로 다시 격화되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 말, 반군 단체인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이 북서부 지역에서 정부군을 상대로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하여 알레포 등 주요 도시를 점령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지난 일주일간 7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민간인 피해도 상당합니다. 정부군은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에 의존해왔으나, 현재 이들 국가의 다른 분쟁 참여로 지원이 약화되어 반군의 공세를 막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인도주의적 위기:

시리아 내전은 13년째 지속되며 50만 명 이상의 사망자와 수백만 명의 난민을 발생시켰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의 시리아 조사위원회는 "전례 없는 인도주의적 위기"라며 시리아인 90% 이상이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또한, 2023년 2월 발생한 강진으로 인해 시리아 북부는 폐허로 변했고, 이재민 대피소는 과밀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절실합니다.

 

국제사회의 대응:

국제사회는 시리아 내전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여러 차례 협상을 시도하였으나, 이해관계의 복잡성으로 인해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한편, 한국 정부는 2024년 시리아와 주변국에 총 2,600만 달러(약 353억 원) 상당의 인도적 지원을 할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결론:

시리아 내전은 복잡한 정치적, 종교적, 경제적 요인들이 얽혀 장기화되고 있으며, 최근의 전투 격화로 인해 인도주의적 위기가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반응형